도면 치수 기입법은 제조나 건설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도면에 치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부품의 크기, 길이, 너비, 높이 등을 정확하게 표시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면 치수 기입법 종류 3가지 관련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도면 치수 기입법 종류 3가지: 직렬, 병렬, 누진 치수 기입법
직렬 치수 기입법

직렬로 나란히 연결된 개개의 치수에 주어진 치수 공차가 누적되어도 좋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또한, 이 방식은 일련의 치수를 하나의 선상에 나란히 써서 표현하며, 일반적으로 도면의 특정 기준점이나 기준면으로부터 상대적인 거리 또는 크기를 표시합니다.
위 그림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이 방법은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우며, 여러 가지 치수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제조 공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병렬 치수 기입법

이 방법에 따르면 병렬로 기입하는 개개의 치수 공차는 다른 치수의 공차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 경우, 공통쪽의 치수 보조선의 위치는 기능, 가공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합니다.
또한,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기준점 또는 선상에 위치한 부품들의 치수를 표시할 때 사용됩니다.
병렬 치수 기입법은 위 그림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각 치수가 독립적으로 표시되며, 이로 인해 동시에 여러 치수를 확인할 수 있어 제조나 시공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누진 치수 기입법

누진 치수 기입법에 따르면 치수 공차에 관하여 병렬 치수 기입법과 완전히 동등한 의미를 가지면서, 한 개의 연속된 치수선으로 간편하게 표시됩니다.
이 경우, 치수의 기점의 위치는 그림과 같이 기점 기호(O) 표시로 나타내고, 치수선의 다른 끝은 화살표로 나타냅니다.
치수 수치는 치수보조선에 나란히 기입하든지 화살표 가까운 곳에 치수선의 위쪽에 그림과 같이 표시합니다. 또한, 2개의 형체 사이의 치수선에도 준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방법은 일련의 치수를 기준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누진하여 표시함으로써 도면을 보다 깔끔하게 정리하고 읽기 쉽게 만들어 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특히, 누진 치수기입법에는 3가지 종류가 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등간격 누진 치수 기입법
치수를 일정한 간격으로 누진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써 치수를 10mm 간격으로 누진하여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등비 누진 치수 기입법
치수를 일정한 비율로 누진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치수를 1:2 또는 1:1.5의 비율로 누진하여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혼합 누진 치수 기입법
등간격과 등비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도면의 특정 부분에서는 등간격을 사용하고, 다른 부분에서는 등비를 사용하여 치수를 표시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치수기입법은 도면 상에 부품의 크기, 길이, 너비 등을 정확하게 표시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는 제조 또는 시공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도면의 가독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또한, 치수가 명확하고 일관되게 기입되면 오해나 혼란을 방지하므로 생산성을 높여주고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수 기입법은 도면의 가독성을 높이고 제조나 시공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