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수기입 원칙 (Dimensioning Principles)

기계 도면에서 치수기입(Dimensioning)은 부품의 크기, 형상, 공차 등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정확한 치수기입은 제작, 검사, 조립의 정확도를 높이고, 해석이 용이하도록 도와줍니다.

치수기입 원칙 (Dimensioning Principles)

치수기입 기본 원칙

1) 명확성(Clarity)

  • 치수는 혼동 없이 명확하게 기입해야 하며, 해석의 오류가 없어야 합니다.
  • 선의 중첩을 피하고,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가독성을 높입니다.

2) 완전성(Completeness)

  • 부품을 제작하고 조립하는 데 필요한 모든 치수를 포함해야 합니다.
  •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고, 최소한의 치수로 최대한의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3) 일관성(Consistency)

  • 동일한 기준에서 치수를 기입해야 하며, 통일된 형식을 유지해야 합니다.
  • 국제 표준(ISO, JIS, ASME 등)이나 회사 내부 표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4) 경제성(Efficiency)

  • 최소한의 치수로 완전한 정보를 전달하여 도면을 간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동일한 정보가 반복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1. 치수기입 주요 규칙

1) 기준을 중심으로 치수 배치

  • 기준면(Datum) 기준 치수기입
  • 조립 및 가공의 기준이 되는 면을 설정하고, 기준에서부터 치수를 기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기준을 설정하면 누적 오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기능적 중요도를 고려한 치수 배치
  • 기능적으로 중요한 치수를 우선 기입해야 합니다.
  • 단순히 크기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부품의 조립 및 기능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중복된 치수기입 금지

  • 동일한 치수를 두 번 이상 기입하면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같은 정보를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3) 치수의 위치와 방향

  • 가급적 도면의 바깥쪽에 치수를 배치하여 도면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합니다.
  • 치수선은 가능한 한 다른 도형 요소와 겹치지 않도록 합니다.

4) 치수 공차(Tolerance)

  • 설정 치수는 항상 가공 가능성을 고려하여 공차를 포함해야 합니다.
  • 너무 엄격한 공차는 가공 비용을 증가시키므로, 적절한 공차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특정 형상의 치수기입 방법

원과 원호

  • 원의 경우 지름(Ø) 기호를 사용하여 치수를 기입합니다.
  • 반지름(R)의 경우 R 기호를 사용하여 치수를 표시합니다.

각도 치수

  • 도형의 기울기나 경사면이 있는 경우 도(degree, °)를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 홀(Hole)과 나사(Thread): 홀 치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치수를 기입하며, 가공 방법(드릴, 탭, 카운터싱크 등)을 명시해야 합니다.
  • 나사산은 표준 나사 규격(M, UNC 등)을 명확히 기입해야 합니다.


2. 치수기입 방법 예시

치수기입 항목설명예시 기호
직경(Ø)원형 부품의 치수Ø25
반지름(R)원호의 반지름 치수R10
각도(°)기울어진 면의 각도45°
길이(L)부품의 전체 길이100
공차(±)허용 오차 범위50 ±0.1
나사(M)나사의 규격과 피치M8 × 1.25


3. 좋은 치수기입 예시와 잘못된 예시

✅ 좋은 예시

✔ 기준면을 설정하여 치수를 기입

✔ 도면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명확하게 배치 ✔ 중복 치수 없이 최소한의 정보 제공


❌ 잘못된 예시

✖ 중복된 치수 기입

✖ 치수선이 형상선과 겹침

✖ 기준 없이 임의로 치수 배치


4. 국제 표준 및 참고 규격

  • ISO 129: 기술 도면의 치수기입 규정
  • ASME Y14.5: 기하공차(GD&T) 표준
  • JIS B 0405: 일본 기계 도면 치수기입 규정


5. 결론

치수기입은 단순한 수치 입력이 아니라, 가공성과 조립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배치해야 합니다.

잘못된 치수기입은 제작 오류, 비용 증가,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하고 일관된 원칙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참고 문헌

ISO 129 공식 문서

기계제도: 기계설계의 시각적 언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